누나와 구름이가 헤어지는 마지막 장면에서 차 뒷유리창에 매달려 누나를 바라보는 구름이의 모습과, 그런 구름이를 차마 보지 못하고 고개 숙인 채 울고 있는 누나의 모습은 깊은 여운을 남긴다. 기쁨이나 즐거움처럼 슬픔 또한 아이들이 마땅히 알아야 할 감정인 만큼 헤어지는 순간에 주인공이 느끼는 슬픔을 섬세하고 솔직하게 전한다.
또한, 소박한 선, 물을 많이 먹은 투명한 색감의 그림으로 슬픔과 미안함을 표현했다. 주인공들의 감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배경을 생략하고 상징적인 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했는데 구름이는 파란색으로, 누나는 노란색으로 단순하게 묘사하면서도 구름이와 누나가 마음을 나눌 때에는 다채로운 색을 사용해 둘만의 특별한 순간을 아름답게 표현해 냈다.아기그림책 『쪽!』의 작가 정호선이 두 번째로 펴내는 창작그림책. 작가가 강아지를 기르면서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과 애완동물 사이의 소통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장면마다 아이의 입장과 강아지의 입장을 나란히 보여 주어 함께 사는 동물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유도한다.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거나 함께 살던 애완동물과 헤어져 본 경험이 있는 아이들이 특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다.
아이들이 어린시절 동물을 기르면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동물과 함께 살아가려면 동물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그만큼 많이 이야기되지 않는다. 『우리 누나, 우리 구름이』는 작가가 강아지를 기르면서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과 반려동물의 관계와 교감의 문제를 이야기한 그림책이다.
한 여자아이가 ‘구름이’라는 강아지를 기르게 된다. 아이는 그날부터 ‘구름이 누나’가 된다. 형제 없이 혼자인 아이에게 구름이는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니다. 돌봐 줘야 할 동생일 뿐만 아니라 마음을 나누는 친구이기도 하다. 하지만 구름이가 집 안 물건들을 물어뜯어 망가뜨리고 시끄럽게 짖어 대는 등 말썽을 부리자 어른들은 구름이를 다른 집에 보내기로 결정한다. 아이는 속상하지만 어른들의 결정에 반대하지 못하고 결국 구름이와 헤어지게 된다.
이야기에서처럼 작가는 실제로 키우던 강아지를 다른 집으로 보낼 수밖에 없었는데 그 후로 가족들은 늘 강아지에게 미안한 마음을 안고 있다. 동물을 기르는 데에 따르는 희생이나 책임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 못한 채 단순히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데려왔다가 끝까지 기르지 못하고 떠나 보낸 미숙함이 못내 아쉬운 것이다. 작가는 강아지가 왜 그토록 말썽을 부렸는지 궁금했다. 강아지의 행동에도 나름의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하고 ‘애완동물’로 지내고 있는 강아지의 속마음을 속 시원히 말해 주고 싶다는 마음에 이 이야기를 구상하게 되었다.
책에서는 장면마다 아이와 강아지의 입장을 나란히 보여 주는 방식을 통해 동물도 사람과 똑같이 감정을 느끼고 나름의 이유로 행동하는 존재라는 것을 강조한다. 구름이는 누나와 외출했을 때 “우리 누나 친구도 많다! 아는 곳도 많다!”라며 누나를 자랑스러워하고, 누나와 함께 공원을 달릴 때는 “야호!” 하고 외치며 즐거워하고, 누나가 학교 갔다 돌아오면 기뻐서 꼬리 치며 달려가 안긴다. 하지만 혼자 있으면 외롭고 심심해서 신발을 물어뜯고, 어두운 곳에서는 무섭고 불안해서 짖어 댄다. 강아지도 아이들이 그러는 것처럼 가족들과 함께 있고 싶고, 더 사랑받고 싶은 것이다. 어린 독자들은 책을 읽으며 애완동물이 장난감처럼 쉽게 사고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깨닫고 나아가 다른 생명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자세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누나와 구름이가 헤어지는 마지막 장면에서 차 뒷유리창에 매달려 누나를 바라보는 구름이의 모습과, 그런 구름이를 차마 보지 못하고 고개 숙인 채 울고 있는 누나의 모습은 깊은 여운을 남긴다. 책은 슬픈 순간을 슬프지 않은 듯, 괜찮은 듯 꾸며서 보여 주지 않는다. 기쁨이나 즐거움처럼 슬픔 또한 아이들이 마땅히 알아야 할 감정인 만큼 헤어지는 순간에 주인공이 느끼는 슬픔을 섬세하고 솔직하게 전한다.
작가는 전작 『쪽!』에서는 아기의 발가락까지 세밀하게 묘사하고 화려한 색으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했던 것과 달리 이번 작품에서는 소박한 선, 물을 많이 먹은 투명한 색감의 그림으로 슬픔과 미안함을 표현했다. 또 주인공들의 감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배경을 생략하고 상징적인 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했는데 구름이는 파란색으로, 누나는 노란색으로 단순하게 묘사하면서도 구름이와 누나가 마음을 나눌 때에는 다채로운 색을 사용해 둘만의 특별한 순간을 아름답게 표현해 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