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씨앗 그림책 시리즈. 볼로냐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선정 작가 조원희가 그림을 그렸다. 매우 간결하고도 강렬한 그림을 그리기로 잘 알려진 조원희 작가는 이번에도 역시 단순한 색채와 선으로 어린이의 마음을 명료하게 대변해 준다. 참고 참다가 화산처럼 폭발하지 말고, 엄마와 아이가 함께 웃음 짓고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고 말이다.
주인공 푸름이는 엄마가 손 잘 씻으라고 하니 손 씻고, 엄마가 음식 남기지 말라고 하니 접시를 싹싹 비우고, 엄마가 동생을 잘 돌보라고 하니 최선을 다해서 놀아 준다. 철가면에 야광 번쩍이는 검, 방패까지 갖추고 동생을 중세 기사의 성으로 안내하는 성의를 보였는데, 엄마에게서 쏟아지는 것은 오로지 잔소리뿐이다.
‘다 엄마 말씀대로 했는데, 엄마는 내 마음도 모르고…….’ 참고 참던 푸름이가 어느 날 폭발하고 만다. 변신 로봇을 갖고 싶은 마음도 몰라주고 “엄마 말 잘 듣고 착하게 굴면 사 준다니까!” 하는 엄마의 대답. 그 순간 푸름이는 서운했던 일, 분했던 일, 속상했던 일 다 모아 남김없이 폭발하는데….이제부턴 엄마 말 안 들을 거야.
내가 하고 싶은 대로만 할 거야!
이 세상 소심한 어린이 대표 푸름이가 뿔났다!
유치원에 갔다 오면 손부터 씻으라고 해서 그렇게 했더니…….
“손만 씻으면 어떡해? 얼굴도 씻어야지!”
음식은 하나도 남기지 말라고 해서 접시를 싹 비웠더니…….
“네가 다 먹으면 어떡해? 누나 먹을 건 남겨 둬야지!”
동생을 잘 돌보라고 해서 열심히 놀아 줬더니…….
“또 동생 괴롭히니?”
엄마는 내 마음도 모르고, 만날…….
아이들과 엄마는 하루 종일 작은 일들로 투닥 댑니다. 이 이야기 속 주인공 푸름이는 엄마가 손 잘 씻으라고 하니 손 씻고, 엄마가 음식 남기지 말라고 하니 접시를 싹싹 비우고, 엄마가 동생을 잘 돌보라고 하니 최선을 다해서 놀아 줍니다. 철가면에 야광 번쩍이는 검, 방패까지 갖추고 동생을 중세 기사의 성으로 안내하는 성의를 보였는데, 이런……. 엄마 등장과 함께 쏟아지는 것은 오로지 잔소리뿐입니다. ‘다 엄마 말씀대로 했는데, 엄마는 내 마음도 모르고…….’
참고 참던 푸름이가 어느 날 폭발하고 맙니다. 변신 로봇을 갖고 싶은 마음도 몰라주고 “엄마 말 잘 듣고 착하게 굴면 사 준다니까!” 하는 엄마의 대답.
왜 나만 가지고 그래?
엄마는 만날 똑같은 소리만 해!
난 엄마가 하라는 대로 다 하는데,
엄마는 나한테 해 주는 게 하나도 없잖아!
싫어, 싫어, 다 싫어!
엄마 말 안 들을래, 이제 내 멋대로 할 거야!
그 순간 푸름이의 마음은 화산 정상을 향해 솟는 마그마처럼 위로 위로 치닫습니다. 서운했던 일, 분했던 일, 속상했던 일 다 모아 남김없이 폭발! 그러고는 외칩니다.
“나, 비뚤어질 거야!”
엄마가 백 번 불러도 대답하지 말아야지.
안 들려, 안 들려.
아, 시원해. 좋다!
소심한 아이의 반항 어린 몸짓, 마음짓
비뚤어지겠다고 선언은 했으나, 막상 소심한 주인공 푸름이가 펼치는 반항의 일상은 어찌 보면참 보잘 것 없습니다. 신발을 짝짝이로 신고, 머리 말리는 엄마가 화장실에 있다며 작은 거짓말을 해 보고, 목욕할 때 욕조에 넘치도록 물을 받거나 거품 비누 좀 더 풀어 보고, 실내에서 공 한 번 뻥 차 보는 그 정도 행동입니다. 하지만 행동이 작다고 해서 그 마음도 작을까요? 그 작은 행동 속에 담긴 마음은 꽤 깊고 오래된 것들입니다. 어른이 보기에는 애걔 싶은 것들이지만, 엄마와 세상을 향해 펼치는 작은 몸짓들은 아주 큰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푸름이의 어처구니없는 반항으로 세상의 소심하고 여린 어린이들이 만족감을 느끼면 좋겠습니다. 아, 어쩌면 어린이들은 다 소심한 존재일지 모른다는 것이 작가의 생각입니다. 하고 싶은 말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어린이가 얼마나 될까요? 내 마음을 똑똑하게 말하기 어려울 때, 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머뭇거릴 수밖에 없을 때, 엄마에게 아빠에게 자꾸 서운한 마음이 커질 때 어린이들이 펼쳐 볼 수 있는 그림책이면 좋겠습니다.
모든 것이 거짓말처럼 원래대로 되돌아왔지 뭐야.
“하루 종일 어디 갔다 이제 오니?”
엄마의 잔소리도 예전 그대로야.
휴, 정말 다행이다!
휴, 엄마가 있어 다행이다!
온종일 티격태격하는 엄마와 아이. 그러다 폭발하는 아이는 물음을 던져 봅니다. 어린이가 나무 자라듯 똑바로 자라야 하나요? 동물들은 동물원에만 있어야 하나요? 울트라 파워 짱 변신로봇은 늘 정의의 사도여야 하나요? 어린이는 늘 엄마 말씀 잘 듣고 착하게 굴어야 하나요? 그렇게 아이는 이 길 저 길 방황(?)해 보고, 스스로 돌아옵니다. 방황의 끝에서 내리는 결론은 ‘휴, 엄마가 있어서 정말로 다행이다!’ 잔소리쟁이 엄마이고 때로는 세상에서 가장 적대적인 인물이 되곤 하는 엄마지만, 엄마의 존재는 차가운 비 맞고 집 안에 들어섰을 때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포근한 이불 같습니다. 체온으로 따뜻해져 있는 이불 말이지요.
볼로냐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선정 작가
조원희 화가의 개성 있는 그림체
늘 개성 있는 그림을 그려 온 조원희 작가가 이번에도 자유로운 그림으로 어린이들과 만납니다. 아이의 화난 마음을 표현하는 빨강과 아이의 발랄한 일탈을 표현하고자 한 파랑, 온통 비뚤어진 세상에서 만난 검정, 그리고 다시 돌아왔을 때와 더불어 꾸준히 아이 곁을 따라다니는 흰색. 매우 간결하고도 강렬한 그림을 그리기로 잘 알려진 조원희 작가는 이번에도 역시 단순한 색채와 선으로 어린이의 마음을 명료하게 대변해 줍니다.
이 책은 말합니다. 참고 참다가 화산처럼 폭발하지 말고, 엄마와 아이가 함께 웃음 짓고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고 말입니다. 때로 조금은 비뚤어져도 좋습니다. 화가 날 때는 벽에 공을 뻥 차 봐도 좋고, 냉장고 안에 비누를 살짝 넣어 두고 모른 체해도 좋습니다. 물론 엄마는 알겠지요. 누가 그랬는지 말입니다. 그리고 또 알 것입니다. 우리 아이가 속상해 한다는 것, 무엇인가 바라는 것이 있다는 것,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고 싶어 한다는 것을 말입니다. 그것은 가치 있고 기쁜 일이라는 것을 우리 어린이들이 알 수 있게 되면 참 좋겠습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