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정아는 100개의 칭찬스티커를 모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런데 작가는 단지 칭찬 스티커 100개나 착한 일을 백번 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는다. 착한 일을 백 번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보다 앞서 지금처럼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있다면 도전하라고 한다. 그것이 착한 일이든 참아야 하는 일이든 아니면 재밌는 일이든 말이다.원하는 것이 있으면 도전하고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칭찬 스티커의 비밀>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정아가 동물병원에서 강아지를 만나면서 시작됩니다. 강아지를 키우고 싶었던 정아는 엄마에게 착한 일을 100번해서 칭찬 스티커 100개를 모으면 그때 강아지를 키울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을 합니다. 엄마는 허락을 합니다. 정아는 칭찬 스티커를 모으기 위해 그동안 아무렇게나 행동했던 지난날과는 다르게 착하고 바르게 행동합니다. 그리고 칭찬스티커를 하나씩 모아갑니다. 얘기는 여기서 끝납니다.
어느 날 정아는 100개의 칭찬스티커를 모을 수 있을지 모릅니다. 그런데 작가는 단지 칭찬 스티커 100개나 착한 일을 백번 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착한 일을 백 번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보다 앞서 지금처럼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있다면 도전하라고 합니다. 그것이 착한 일이든 참아야 하는 일이든 아니면 재밌는 일이든 말이죠.
아이의 미래, 상상력이 좌우합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 구글의 세르게이 브린을 거론하지 않아도,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아이들의 상상력에 달려 있다는 것을 누구나 잘 알고 있습니다. 상상력은 하루아침에 만들 수 없습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암기한다고 늘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논리적인 대응으로 답을 구하는 방식으로도 상상력을 만들어낼 순 없습니다. 상상력은 ‘관계’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서로 주고받는 ‘대화’에서 상상력은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사물의 비밀>은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대화’에 중점을 둔 동화책입니다.
사물의 비밀은 의인화한 ‘사물’ 간의 상호 관계와 그들의 대화를 통해 사물이 갖고 있는 기본 속성을 알게 하며, 더 나아가 사물 간의 비교, 교환, 확대, 축소 등 융합적 사고로 아이들의 상상력을 무한대로 끌어내고 있습니다
<사물의 비밀> 속 사물이 말해주는 비밀스러운 이야기
물들은 어떤 특정 상황을 위해 만들어졌고 누군가를 위해 존재하지만, 사람들은 금세 그 사실을 잊고 방치하기 일쑤입니다. 사물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우리를 사랑할 수도 있고 또 속상해서 사람에게 불평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아이들은 잘 알고 있고, 잘 듣고 있습니다. 사물이 소곤대는 소리를, 노래를, 이야기를 말이죠.
사물의 비밀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길잡이
인격 도야와 인성 함양은 우리 교육이 지향해온 교육 철학입니다. 이 교육 철학은 사물의 비밀 전반에 투영되어 인생을 살아가는 데 길잡이가 되어줄 것입니다. 단 한 권의 사물의 비밀이라도 읽었다면 세상은 더 이상 전과 같지 보이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좋은 책은 삶을 살아가는 방식과 삶의 의미를 바꿔 놓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물의 비밀>은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슬기를 함양하기 위해서 상상력이, 바른 인성이, 인격 도야가 필요함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사물의 비밀은 가공의 이야기이지만 그 안에 담긴 바르고 어진 마음은 현실에서 팔딱팔딱 살아 숨쉽니다. 아이들이 인생의 수많은 역경을 피하지 않고 맞닥뜨려 슬기롭게 풀어나갈 수 있는 <사물의 비밀> 안에는 다양한 지혜가 숨어 있습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