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사키 치히로는 수채화와 수묵화를 결합한 서정적인 화풍으로 반세기 동안 널리 사랑받아 왔다. 『건강해진 날』은 이와사키 치히로가 생전에 남긴 그림을 그의 아들이자 그림책 평론가인 마쓰모토 다케시가 완성한 작품으로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세대를 거듭해 읽히며 여전한 생명력을 지닌 치히로 그림책 시리즈의 마지막 권으로 선보이기에 걸맞다.치히로 그림책 정신을 되살린 작품 국내 첫 출간
시간이 흘러도 바래지 않는 거장의 숨결
2018년 12월 작가 탄생 100주년을 맞아 재출간된 『눈 오는 날의 생일』을 시작으로, 2년 여에 걸쳐 순차적으로 선보인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책’ 시리즈가 『건강해진 날』(미디어창비)을 마지막으로 총 7권 완간되었다. 이와사키 치히로는 수채화와 수묵화를 결합한 서정적인 화풍으로 반세기 동안 널리 사랑받아 왔다. 『건강해진 날』은 이와사키 치히로가 생전에 남긴 그림을 그의 아들이자 그림책 평론가인 마쓰모토 다케시가 완성한 작품으로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세대를 거듭해 읽히며 여전한 생명력을 지닌 치히로 그림책 시리즈의 마지막 권으로 선보이기에 걸맞다.
몸이 아픈 어린이의 마음까지 위로해 주는 이야기
『건강해진 날』은 같은 시리즈에 속한 전작 『비 오는 날 집 보기』처럼 집 안에 홀로 머물러야 하는 어린이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비 오는 날 집 보기』가 엄마의 부재라는 상황을 비 오는 날 특유의 정취로 표현했다면, 『건강해진 날』은 며칠째 이어진 열 기운으로 조금은 피곤하고 나른한 감정을 그린다. 혼자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종이접기도, 그림 그리기도 “아주 잘하게 되었지만” 아무래도 혼자서는 기쁘지가 않다. 아이는 나비가 되어 맘껏 멀리 날아가는 상상을 하며 외출하고 싶은 마음을 달랜다. 병이 낫기만 한다면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상상이 아픈 아이가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기대다. 외출을 간절히 기다리던 아이의 방문에 드디어 찾아온 노란 나비의 노크. 아이는 과연 나비를 따라 친구를 만나러 나갈 수 있을까?
머잖아 다시 친구들과 뛰어놀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주는 그림책
이 작품은 ‘코로나 19’ 확산 이후로 야외 활동에 어려움이 생기고, 실내 생활에 익숙해져야 하는 지금의 어린이들에게 새롭게 읽힐 지점이 있다. 질병이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전에 없이 커진 코로나 시대에, 병이 곧 나아서 친구들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은 남다르게 와닿는다. 병이 깨끗이 나은 치이를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은 함께 놀자는 친구들의 목소리다. 세계와 고립되어 방에서 혼자 지내던 치이의 “엄마, 오늘은 밖에 나가도 돼?”라는 물음은 어른 독자들에게도 이전과 다른 느낌으로 실감된다. 우리는 누구나 언제라도 아플 수 있지만, 병은 치유되고, 일상은 회복될 수 있다. 건강을 되찾음으로써 일상으로 돌아가는 이야기 구조는 비단 몸의 건강뿐 아니라 병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으로 지친 마음의 건강까지 빌어 주는 듯하다. 이제까지 당연하게 여겨 왔던 일상의 소중함을 누군가에게 다시 한번 약속받고 싶은 시대에 긴한 위로가 되어 주는 작품이다.
치히로의 그림책 정신을 사랑으로 되살리다
한편 『건강해진 날』은 이와사키 치히로가 생전에 남긴 그림을 사후에 그림책 편집자 다케이치 야소오의 기획으로 치히로의 아들 마쓰모토 다케시가 펴낸 것이어서 더욱 뜻깊다. 마쓰모토 다케시는 그 역시 그림책 작가이자 평론가로 작품 활동을 펼쳐 왔다. 1977년에는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책 미술관(현 도쿄 치히로 미술관)을 세우고, 1997년에는 아즈미노 치히로 미술관을 여는 등, 어머니 치히로의 그림책 정신을 잇기 위해 애써 오기도 했다. 어머니의 작품 세계를 누구보다 깊이 이해하고, 귀하게 간직해 온 아들이 어머니가 세상을 떠날 무렵의 나이가 되어 펴낸 이 책은 이와사키 치히로의 작품을 사랑해 온 애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안긴다. 일곱 권의 치히로 그림책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한국에 첫선을 보이는 작품이어서 한국 독자들에게는 더욱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목차